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연차 일수 계산법, 헷갈리지 마세요

by 다드림1004 2025. 4. 9.
반응형

 

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"내 연차가 몇 일이나 있지?" 하는 고민이 들 때가 있습니다. 특히 신입사원이나 퇴사를 앞둔 경우엔 정확한 연차 계산이 중요하죠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연차 일수 계산법을 상황별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✅ 연차는 이렇게 계산됩니다

연차 일수는 근속 기간과 출근율에 따라 달라집니다. 법적으로는 근로기준법 제60조를 기준으로 연차가 부여됩니다.

① 신입사원 (입사 첫해)

  • 매월 개근 시 월 1일씩 발생
  • 최대 11일까지 발생 가능

② 입사 1년 이상 근속자

  • 입사 1주년이 되는 날 15일의 연차 일괄 발생
  • 단, 1년간 출근율 80% 이상이어야 함

③ 3년차부터는 가산 연차가 붙습니다

  • 2년 이상 근속한 경우, 2년마다 1일씩 추가
  • 최대 연차는 25일까지 발생 가능

📊 연차 일수 계산 예시

근속 기간 출근율 연차 일수 비고
1개월 100% 1일 신입 첫 달 개근 시
11개월 100% 11일 신입 첫해 최대치
1년 80% 이상 15일 입사 1주년부터 발생
3년 80% 이상 15 + 1 = 16일 2년마다 1일 가산
9년 80% 이상 15 + 4 = 19일 최대 25일까지 가능

📘 퇴사 예정자라면 이렇게 계산하세요

퇴사 전에는 남은 연차를 수당으로 정산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때 필요한 건 정확한 남은 연차 일수 파악입니다.

  • 첫해 → 사용하지 않은 월별 연차만큼 수당 지급
  • 1년 이상 근속 → 15일 중 사용한 연차 차감 후 정산

연차수당은 퇴사 시 반드시 정산되어야 하는 법정 의무이므로, 회사가 지급하지 않을 경우 근로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출근율 80%는 어떻게 계산하나요?

1년 근무일수 중 실제 출근한 날의 비율로 계산합니다. 예: 1년 근무일 250일 중 210일 출근했다면 → 210 ÷ 250 = 84%

Q2. 회사마다 연차 일수가 다르던데요?

법적으로 정해진 최소 기준은 같지만, 복지 차원에서 연차를 더 주는 회사도 있습니다. 따라서 내부 규정도 꼭 확인하세요.

Q3. 반차나 시간차도 연차에 포함되나요?

네, 반차(0.5일), 시간차(예: 2시간 단위) 모두 전체 연차 일수 내에서 차감됩니다.

💡 팁: 연차 계산기 활용하기

정확한 계산이 어려울 땐, 고용노동부 연차 계산기 또는 회사 인사 시스템을 활용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✅ 마무리

연차 일수는 단순히 "1년에 15일"이 아닙니다. 신입인지, 근속연수는 몇 년인지, 출근율은 어떤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꼭 본인의 상황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.

다음 글에서는 👉 “연차 대체휴일과 주휴일의 차이”를 다뤄볼게요. 헷갈리기 쉬운 유급휴일 개념을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.

반응형

TOP

Designed by 티스토리